무역이야기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입 시 확인해야 할 리스트

KL차이나 2025. 3. 7. 01:25

한중무역

중국에서 한국으로 제품을 수입할 때는 단순히 제품을 고르고

배송을 요청하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아요.

 

수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미리 예방하고,

원활한 통관을 위해 꼭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입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핵심 사항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1. 원산지 표기 : 수입 시 필수조건

원산지 표기는 수입 제품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사항이에요!

중국 원산지표기

 

한국으로 수입하는 모든 제품은 반드시 원산지를 명시해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통관이 거절되거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원산지 표기 방법: 제품 포장 또는 라벨에 "Made in China"와 같이 명확히 표기되어야 합니다.

 

✔️주의점: 원산지 표기가 모호하거나 누락된 경우,

추가 서류 요청이나 통관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글을 확인해주세요 :)

https://klchina.tistory.com/6


2. 제품 부피(CBM) 확인: 해운비 계산의 핵심

해운을 이용해 제품을 수입할 때는

제품의 부피(CBM, Cubic Meter)를 정확히 알아야 해요.

해운비는 주로 CBM 단위로 계산합니다

 

✔️CBM 계산 공식:CBM=가로(m)×세로(m)×높이(m)

※예를 들어, 가로 1m, 세로 1m, 높이 1m인 제품은 1CBM이에요!

 

✔️주의점: 부피는 작지만 무게가 무거운 화물(예: 철제 제품)의 경우,

무게를 CBM으로 환산하여 계산할 수 있어요.

이를 "중량톤(Weight Ton)"이라고 합니다.

 

주로 CBM과 중량톤은 해운사에서 직접 측정 하나,

해운비는 CBM과 중량톤 중 더 높은 금액을 기준으로 청구되므로,

관련 내용은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아요!


3. 원산지 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관세 혜택 받기

한국과 중국은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한 국가에요.

따라서 특정 제품에 대해서는 관세가 0%로 적용될 수 있어요.

하지만 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원산지 증명서가 필수에요!

 

🔎원산지 증명서란?: 해당 제품이 중국에서 생산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에요.

 

✔️발급 방법:

중국 해운사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발급비 CNY150위안정도 청구돼요.

 

✔️주의점:

원산지 증명서가 없으면 FTA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발급받아야 해요.

서류 발급에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아요!


4. HS 코드확인

HS 코드란? 제품의 종류를 분류하는 국제 공통 코드에요. 

이 코드를 통해 관세율과 통관 절차를 확인할 수 있어요.

✔️확인 방법: 한국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HS 코드를 검색하거나,

담당 관세사 문의하면 보다 정확한 코드를 확인할 수 있어요.

※관세청 홈페이지: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주의점: HS 코드를 잘못 기재할 경우,

CO재발급 등 추가 관세가 부과되거나 통관이 지연될 수 있으니 정확한 확인이 필요해요!


 

중국에서 한국으로 제품을 수입할 때는

원산지 표기, 제품 부피(CBM), 원산지 증명서

다양한 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요!

 

또한, HS 코드, 통관 서류, 배송 방식, 관세와 부가세까지

관련 지식을 미리 알고있다면

수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어요!

 

수입과정에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KL차이나로 연락주세요!

 

수입에 필요한 모든 업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한중무역 성공적인 수입을 위해 꼼꼼히 준비하세요! 🚀